서산대사

by 希言 posted Jan 12, 2005
서산대사

가난한 사람이 와서 구걸하거든 자신의 분수대로 주라.
중생을 한 몸으로 여기는 큰 자비가 참된 보시이다.
나와 남이 둘이 아닌 것을 한 몸이라고 한다.
이 세상에 빈손으로 왔다가 죽을 때도 빈손으로 가는 것이 우리 집안의 살림살이이다.

어떤 사람이 와서 해롭게 하더라도 마땅히 마음을 거두어 성내거나 원망하지 말라. 한 생각 성내는 마음이 일어나면 온갖 장애의 문이 열린다.
번뇌가 헤아릴 수 없으나 성내는 것이 제일 크다.
열반경에 이르기를 ‘향수나 약을 바르거나 칼로 자르더라도 이 두 가지에 무심해야한다’고 했다. 성을 내는 것은 마치 구름 속에서 벼락이 일어나 불이 생기는 것과 같다.

참는 일이 없으면 보살의 모든 선한 행위가 이루어질 수 없다.
수행의 문이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자비와 인욕의 뿌리이다.
참는 마음이 꼭두각시의 꿈이라면, 모욕을 당하는 현실은 거북의 털과 같다.

본래의 참 마음을 지키는 것이 첫째가는 정진이다.
만약 정진한다는 마음을 일으킨다면 이것은 망상이요, 정진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망상하지 말라, 망상하지 말라’고 했다.
게으른 사람은 하릴없이 늘 뒤만 돌아보니, 이런 사람은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는 사람이다.
<선가구감>

우리들이 가야할 길을 깨우쳐주는 가르침입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이 와서 구걸하거든 자신의 분수대로 주라’는 말씀이 뇌리에 새겨져 떠나지 않습니다. 자비의 실천조차도 분수대로 하라는 가르침은 욕망의 본질을 꽤 뚫는 일침(一鍼)입니다. 소외되고 가난한 이웃을 돕는 공덕을 쌓는다 하더라도 분수를 잊어버리면 명예욕 등의 욕망에 빠질 수 있다는 선사의 자상함이 고마울 따름입니다.

요즘 사회복지 쪽은 물론 대한민국의 곳곳에서 ‘정부 돈 못 먹으면 바보’라는 얘기가 들립니다. 하지만 고금(古今)이래 ‘독’은 항상 달콤했고 ‘약’은 썼습니다. 서산스님의 가르침에 따라 우리들은 쓴 ‘약’을 삼키는 바보가 되고 싶습니다. 후원자들의 힘을 믿고 분수껏 가난한 이들을 돕는 바보가 되고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서산대사 希言 2005.01.12 1173
121 한나라당은 야당다운 행보를 해야 希言 2005.02.02 1292
120 본질로 치닫는 북핵사태와 처량한 한국의 처지 그리고 절실한 서울과 워싱턴 간의 신뢰 강화 최배근 2005.02.18 1460
119 노숙인 인권, 다시 보자 希言 2005.02.28 1281
118 한국(경제)에서 2008년과 2020년의 의미 최배근 2005.02.20 1538
117 학원폭력과 희생제의 希言 2005.03.24 1353
116 한국경제 장기침체에 대한 우려 최배근 2005.04.03 1314
115 외국자본, 우리 경제에 약인가 독인가 최배근 2005.04.18 1504
114 대외환경 불안에 따른 우리 경기의 전망 최배근 2005.05.02 1265
113 북핵 및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간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 최배근 2005.05.17 1268
112 죽산(竹山)이 역사적으로 복권되고 부활되어야 하는 이유 KG 2005.05.30 1454
111 '일본식 장기불황'과 다른 한국경제의 장기침체 가능성 최배근 2005.06.02 1844
110 37억 아시아人의 마음을 모으자-1월 26일 아시아 동시추모의 날을 제안하며 KG 2005.01.20 1250
109 다시 아시아의 날을 생각한다 KG 2005.06.08 1436
108 한국경제의 회복,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자세로 접근해야 최배근 2005.06.15 13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