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입니다.
1학년이구요...
이라크 파병문제, 철도노동자..등 여러가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보수단체에서는 우리나라 군대를 이라크에 보내려고 하는데..
만약 가게되면 그 군인들의 후의 일이 더 걱정스러울 뿐입니다.
고엽제 처럼 되지 않을까 하구요,,
정부는 철도노동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근무하는지 모르는것 같습니다.
기관사 같은 경우에는 거의 100dB이 가까운 소음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일매일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이 바뀌어 생체에도 리듬이 바뀝니다.
전 철도파업에서 정부는 먼저 복귀하고 나중에 대화하자고 했는데..
철도청 및 정부는 그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법원에다 소송을 냈다고 합니다.
철도가 있는 120여개 나라 중 우리나처럼 국가가 철도를 운영하는 나라가 5개랍니다.
그 나라의 목록은..
한국, 북한, 러시아, 스리랑카, 인도(화물제외) 입니다..
그래서 건설교통부는 철도 서비스도 올릴 겸 공사화를 한다고 합니다.
아신 분도 있겠지만, 철도청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은 공무원 입니다.
공사화가 되고나면 공무원 자리에서는 물러나게 되는 것지이요..
그렇다면.. 철도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신 분들은 공무원 연금을 못받게 되는거죠..
노동자들이 조금이나마 대우받는 삶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1학년이구요...
이라크 파병문제, 철도노동자..등 여러가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보수단체에서는 우리나라 군대를 이라크에 보내려고 하는데..
만약 가게되면 그 군인들의 후의 일이 더 걱정스러울 뿐입니다.
고엽제 처럼 되지 않을까 하구요,,
정부는 철도노동자들이 얼마나 힘들게 근무하는지 모르는것 같습니다.
기관사 같은 경우에는 거의 100dB이 가까운 소음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일매일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이 바뀌어 생체에도 리듬이 바뀝니다.
전 철도파업에서 정부는 먼저 복귀하고 나중에 대화하자고 했는데..
철도청 및 정부는 그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법원에다 소송을 냈다고 합니다.
철도가 있는 120여개 나라 중 우리나처럼 국가가 철도를 운영하는 나라가 5개랍니다.
그 나라의 목록은..
한국, 북한, 러시아, 스리랑카, 인도(화물제외) 입니다..
그래서 건설교통부는 철도 서비스도 올릴 겸 공사화를 한다고 합니다.
아신 분도 있겠지만, 철도청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은 공무원 입니다.
공사화가 되고나면 공무원 자리에서는 물러나게 되는 것지이요..
그렇다면.. 철도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신 분들은 공무원 연금을 못받게 되는거죠..
노동자들이 조금이나마 대우받는 삶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