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재앙, 대책은 없나

by KG posted Apr 13, 2006
KG 회원인 시민정보미디어센터 오기출 사무총장이 4월 13일자 경향신문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참고로 올해는 UN이 정한 '사막·사막화의 해'입니다.

최근 크고 작은 황사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지난 2000년부터 시민정보미디어센터에서는 사막화의 속도가 가장 빠른 몽골에서 사막화방지 실태조사와 식립사업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답니다. 현재 한·몽 평화협력네트워크의 사무국 단체를 맡고 있기도 합니다.



[시론] 황사재앙, 대책은 없나

〈오기출/시민정보미디어센터 사무총장〉

이제 황사가 환경악화에서 비롯된다든지, 황사 자체가 오염물질 덩어리라는 것은 다 안다. 그런 황사가 갈수록 농도가 진해지고 있어 보다 전문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지난 8일 한국을 덮친 황사는 미세먼지 농도 최대 2,307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소보다 무려 30배를 웃도는 농도였다. 공교롭게도 미세먼지 농도 2,070μ/㎥로 가장 큰 피해를 주었던 2002년 황사도 4월8일이었다는 점에서 4월8일을 ‘황사수난일’로 기록해야 할 것 같다. 2002년 황사의 경우 시민들이 입은 건강상의 피해 등을 환산하면 피해규모가 20조원에 달했다고 한다. 이런 피해규모만 따져봐도 황사대책을 획기적으로 세워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그렇지만 그동안 정부와 언론은 황사가 휩쓸고 갈 때는 요란하게 대책논의를 하다가도 지나가면 언제 그랬느냐는 식으로 지나쳐왔다.

-발암·방사능물질 다량 섞여-

황사가 어느 정도로 심각한 문제일까. 과거 황사의 위험성에 대해 알려진 바로는 납, 카드뮴 등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이 섞여 있다는 정도였지만, 2000년부터 황사가 인체에 치명적인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싣고 온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안산 해양연구소와 일본 쓰쿠바지역 조사보고에 따르면 다량의 방사능물질까지 검출되었다고 한다. 피해지역도 서해지역에서 부산 등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안전지대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황사가 전국적인 현안이 된 것이다. 부경대 연구팀에 의하면 황사가 오면 다이옥신의 양이 평소보다 3배 이상 치솟는다고 한다.

매년 우리나라 황사 발생량은 최고 1백만t으로 추정된다. 황사가 오면 다량의 다이옥신이 토양에도 축적되고 강과 바다, 그리고 상수원에 침전됨을 예상할 수 있다. 다이옥신이 육류, 어패류, 식수를 오염시키고 식탁을 통해 인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황사기간 중 미세입자 농도도 문제이다. 특히 PM 2.5 이하에 해당하는 미세입자의 경우 마스크를 뚫고 인체로 흡수된다. 폐로 곧장 침착하는 PM 2.5 이하 미세입자는 이번 4월8일 황사 발생때 황사 발생 전보다 5~6배까지 높아졌다고 한다. 이제 황사는 마스크를 사용해도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봐야 한다.

이러한 황사 원인은 동북아시아에 거대한 규모로 진행되는 사막화 현상에 있다. 사막화 문제는 사막화가 진행되는 당사국만이 아니라 한국, 일본, 하와이까지 황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데 있다. 중국은 전 국토의 16%, 몽골은 46%가 이미 사막화되어 있다. 내버려두면 중국은 전 국토의 50%, 몽골은 90%가 사막화될 것이다.

동북아시아 생존을 위협하고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황사와 사막화 대책은 생태환경 복원과 식림, 초지조성사업, 방풍림사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다. 이런 대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려면 동북아시아 국가가 협력체를 구성해 국가간, 지역간 공동추진 프로그램을 마련, 시행해야 한다.

문제는 우리 정부대책이 아직 초보적이라는 점이다. 정부는 황사 예·특보제를 운영하고 한·중 공동 감시체계, 황사대응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번 4월8일 기상청의 오보처럼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사막화 방지’등 참여 절실-

정부는 우선 전문적인 황사대책을 세워야 한다. 황사는 이미 전 국민에 해당되는 사안이다.

동북아시아 사막화와 황사와의 전쟁은 NGO의 참여로 촉발되었다. 그동안 동아시아 정책 NGO인 ‘시민정보미디어센터’와 동북아 산림포럼, 일본의 ‘지구녹화센터’ 등은 8년 이상 몽골과 내몽골 사막을 녹지로 만들고 성공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NGO가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베이스와 경험을 참고, 대책수립을 함께 한다면 좀더 빨리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4121802151&code=9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