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 항일志士

by 永樂 posted Mar 03, 2006

‘일본 패망’전파하다 옥살이…14세 항일志士 있었다
일제 식민통치의 부당성에 항거하다 일제 경찰에 붙잡혀 온갖 고문 끝에 숨진 ‘소년지사’의 의거가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는 경향신문이 28일 국가기록원에서 입수한 1944년 1월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청의 ‘형사재판 판결문’과 유족의 증언에서 드러났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독립운동과 관련해 아직껏 14, 15세 어린이의 실형 기록은 보고된 바 없다”며 “일제 강점기 최연소자에 의한 항일운동으로 평가된다”고 확인했다.

판결문에 따르면 1943년 9월말 전남 여수시 돌산읍 작금마을 주재연(朱在年·당시 14세·사진)군은 조선임시보안령 위반 혐의로 여수경찰서에 구속됐다. 주군은 9월23, 24일 이틀간 마을 뒷산 바위 4개에 한문으로 ‘朝鮮日本別國(조선과 일본은 별개의 나라)’ ‘日本島鹿 敗亡(일본섬 놈들은 망한다)’ ‘朝鮮萬歲(조선만세)’ ‘朝鮮之光(조선의 빛)’이라는 글자를 새겼다.

주군은 그러나 일본 경찰이 글씨를 발견함으로써 사흘 만에 체포됐다. 일제는 경비정 7~8척과 경찰 100여명을 동원해 경적을 울리며 온 마을을 수색했다. 그래도 ‘범인’이 나타나지 않자 주민들을 모아놓고 마을에 불을 지르겠다고 협박했다.

이때 주군이 벌떡 일어나 “순사 대장 어디 있소. 내가 했소”라며 자수했다. 당시 현장을 목격한 마을주민 박채현씨(79)는 “일본 경찰이 충격을 받을 만큼 배포있는 행동이었다”고 회고했다.

주군은 경찰에서 ‘배후세력’을 대라는 강요와 함께 보름여간 갖은 고문을 당했다. 그러나 그는 ‘조선만세’의 소신을 굽히지 않고 ‘단독범행’임을 주장했다. 자신에게 외부 소식을 전해준 약장수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이다. 판결문에는 ‘피고는 동네를 돌며 대동아전쟁 시작 이래 일본은 국토가 좁고 물자도 부족해 전황이 불리하고 조선독립의 실현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일본과 조선은 별개 국인데 명치 43년에 병합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시국상 인심이 현혹됐다’고 나와 있다. 동네 주민들을 ‘선동했다’고 본 것이다. 주군은 감옥살이 4개월 만인 이듬해 1월28일 징역 8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고 풀려났다. 그러나 혹독한 고문으로 만신창이가 된 뒤여서 석방 한달여 만에 숨졌다. 돌산초등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마을의 희망’이 스러진 것이다.

이 마을 주민들은 이번 판결문 기록 발굴을 계기로 기념비 건립 등 추모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조세열 사무총장은 “일제 말기 엄혹한 상황 아래서 용기있는 애국적 행동을 보여준 드문 사례”라며 “소년지사로 선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명재기자 ninaplus@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