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란>> 동서님 그럼 우리나라는 인도네시아에다 저런 바이오원료 재배 농장을 많이 임대받아야 되겠습니다. 그래야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수 있잖아요? 동서님요 돈 버시는대로 거기 농장 많이 사세요. 아니다 이건 정부에서 할 일이네요. 인도네시아 뿐이 아니라 어디라도 원료를 싼값에 재배할 수 있는 곳을 많이 확보해야할 깁니다. 이궁, 2006/06/12 15:16:30 東西南北>> 딩동, 영란씨 정답. 한국은 중앙정부 내지는 지방정부가 나서서 인니의 광대한 토지를 임대해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해야 합니다. 조만간 일본과 동남아를 주축으로 바이오에너지 매매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나중에 손가락 빨지말고 지금이라도 나서서... 에휴! 근데 이런거 할 대가리들이 지금 정권에 있나 몰러..... 2006/06/12 15:59:37 리플러>> 그러니까..... 인도네시아...일부를 사야된다니까요... 강남 아파트랑....인도네시아 땅이라 바꾸자고 동서님이 제안하십시오... 지금 정권이요?? 이건 돌대가리 수준을 벗어나... 금강석에 가깝습니다... 매일 자신들의 발등 찍기 바쁘니...원.... 2006/06/12 16:25:25 달랑무>> 2005년 2월 소주회사인 보해 창업주의 차남이 설립한 청해에탄올과 파푸아뉴기니 주정부사이에 플랜테이션 농업(카사바)을 위한 MOU를 체결한 적이 있습니다. 에너지자급 차원에서 보면 해외에서 수입한 농작물을 통한 바이오 연료 생산과 역시 해외에서 수입한 원유의 정제공정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논의가 되었던 것으로 압니다. 2006/06/12 16:55:53 은초롱>> 댓글들이 더 재미있어요...ㅎ 누구보다도 정보가 빨라야 남들보다 앞서갈껀데....좀 그렇네요 담당부서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중 앞서가는 인재들이 그리없는건가요? 동서님을 파~악팍 함 밀어봐? 후후^^ 2006/06/12 16:59:12 달랑무>> 국내 디젤수요의 5%를 대체하기 위해 남한 전국토의 51%에 대두유을 심어야 하는 현실에서 보면 플랜테이션 농업을 통한 해외진출이 당연한데 아직 이런 정책적인 문제와 바이오연료의 경제성 등 기술적 문제들이 남아있네요. 2006/06/12 17:01:33 jktbae>> 최근 인니의 플랜테이션 관련회사들의 이익이 급증하면서 주가도 엄청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바이오연료의 장점은 시장상황에 따라 농산물로도 에너지로도 판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팜오일의 경우 CPO의 형태로 국제시장에서 거래되는데 이 CPO는 다시 튀김용 식용유로도 아니면 바이오디젤로도 가공됩니다. 사탕수수도 가공에 따라 설탕도 되고 바이오에탄올도 됩니다. 즉 시장상황에 따라 고수익을 쫓아가면 되는것이지요. 이러한 예를보면 합리적 경영진의 경영능력하에 바이오 산업은 현재의 농산물 가격만으로도 충분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만일 유가가 추가로 급등하면 엄청난 초가이윤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06/06/12 18:53:26 거 당>> 인도네시아가 원유 수입국이 되었다니 놀랄 일입니다. 그렇지만 바이오 연료산업의 사우디 아라비아가 될수 있다니 반가운 소식 입니다. 다들 이렇게 부지런히 에너지 개발에 힘을 쓰고 있는데 ...... 우리도 준비를 하고 있는지 걱정이 됩니다. 2006/06/12 20:48:03 종이등불>> 얼마나 많은 종류의 식물들에서 바이오 연료를 추출하는지....... 놀랐습니다. 석유 매장량이 많은 인니가 원유 수입국? 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2006/06/12 22:11:11 김현수>> 이도 저도 아닌 한국의 앞날이 더 걱정 이지요.. 2006/06/13 00:00:1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