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軍 훈련 ‘한반도 참전’ 겨냥했다 | |||||
중국 인민해방군이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한 모의 참전 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0일 “선양(瀋陽)군구 소속 기계화 보병여단과 대항군으로 참가한 베이징(北京)군구 소속 장갑여단 병력 6,000여명이 네이멍구(內蒙古) 초원지대에 있는 베이징군구 훈련기지에서 지난 5일 핵과 화생방 공격을 비롯해 해상전과 공중전에 대비한 훈련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오는 15일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진 이번 훈련에 참가한 선양군구 소속 제39집단군 제190기계화보병여단은 지난 5일 도상훈련에 이어 6일 새벽 랴오닝(遼寧)성 번시(本溪) 주둔지를 떠나 훈련기지까지 1,000여㎞를 주파하는 사상 첫 장거리 기동 훈련을 벌였다. 이들 병력은 기동 도중에 가상적의 정찰위성 대피훈련과 전자파 교란 등의 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펼치기도 했다. 선양군구는 중국 해방군내 7대 군구의 하나로 사령부는 랴오닝성 선양에 있으며 유사시 한반도를 담당하게 된다. 이번 훈련에 참가한 병력은 선양군구 3,000여명, 대항군으로 투입된 베이징군구 3,000여명 등 총 6,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이번 훈련과 별도로 지난(濟南)군구 소속 제162사단 쾌속대응부대는 다음달 한반도 참전 모의 훈련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군구는 사령부가 산둥(山東)성 지난에 있으며 유사시 일본과 한반도를 맡고 있다. 베이징의 군사 소식통들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교착에 빠진 데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경고 등 한반도가 긴장국면에 접어든 상태에서 중국이 이례적으로 대규모 모의 훈련을 시작한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베이징|홍인표특파원〉 |
|||||
- 2006년 9월 11일(월) 7:44 [경향신문] |
‘중국軍 훈련’ 한국戰 참전 최정예부대 선봉 |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이 창군 사상 처음 장거리 기동 훈련을 벌이고 있다.
훈련의 주역은 선양군구 소속 제39집단군 제109기계화보병여단. 한국전쟁 당시 참전했던 제39집단군 소속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최정예 부대다. 이번 훈련은 작전 준비, 장거리 기동, 작전 배치, 전투 실시 등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했다. 이들은 지난 5일 도상 훈련에 이어 6일 새벽 5시 주둔지인 랴오닝(遼寧)성 번시(本溪)를 출발했다. 목적지는 1,000여㎞ 북서쪽으로 떨어진 네이멍구 자치구 수도인 후허하오터(呼和浩特) 인근 초원지대. 1,000여㎢ 넓이의 방대한 베이징군구 기동 훈련기지다. 이 부대가 진로를 남쪽으로 잡아 이만한 거리를 이동하면 한반도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다. 관영 신화통신은 15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훈련을 기자들이 직접 동행 취재하면서 웹사이트를 통해 전 과정을 속보로 전하고 있다. 해방군 사상 첫 장거리 기동 훈련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는 뜻이다. 선양군구 기계화보병여단은 네이멍구의 훈련장에 도착할 때까지 1,000여㎞를 트럭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도 화생방전과 공중전, 전자파 교란 등에 대비한 다양한 훈련을 가졌다. 6일 오후 2시26분. 시골길을 한참 이동중이던 여단 지휘부에 총지휘부의 긴급 명령이 내려왔다. 4분 뒤, 가상적의 정찰 위성이 차량 대열 상공을 지난다는 급보였다. 지휘관의 지시로 즉각 차량들은 전진을 중단하고 은폐 대형으로 흩어졌다. 불과 2, 3분 만에 차량은 등을 껐고, 방호 그물을 치고, 무선 통신을 중단했다. 15분이 지나자 위성은 소득없이 상공을 지나쳤다. 그러나 기동 훈련 첫날, 보병여단은 가상적의 사령부 기습 공격으로 사령관이 잡히고 지휘부가 파괴돼 부대를 재편해야 하는 상황을 만났다. 첫날 숙영지는 옥수수밭. 도로에서 불과 100여m 떨어진 곳이지만 은폐가 완벽해 지나가는 행인들은 대규모 병력이 몸을 숨기고 있는지를 대부분 모르고 지나칠 정도였다. 기동 훈련 이튿날인 7일, 이들은 보다 어려운 상황을 맞았다. 전진하던 도로가 파괴되고, 우회해야 하는 도로에는 가상적이 5가지 종류의 생화학 무기를 투하한 상태였다. 이들은 현지 민병대의 도움을 받아 생화학무기의 오염을 제때 씻어내면서 죽음의 길에서 빠져 나왔다. 이날 밤, 네이멍구 자치구 영내로 들어왔을 때 내리던 비는 눈으로 변했고 기온은 영하 3도까지 내려갔다. 네이멍구의 첫눈이 예년보다 한달 먼저 내린 것이다. 8일 오전 5시, 눈이 그치기 시작했다. 이때 갑자기 공습 경보가 내렸다. 16대의 가상적 전투기가 기습한다는 것이다. 부대 병력은 즉각 흩어지고 대공 미사일과 지상 고사포 발사를 준비했다. 간신히 가상적 전투기 절반을 격추한 뒤 기계화보병여단은 실제 훈련장인 네이멍구 훈련기지에 도착했다. 예정 시간을 넘기지 않고 정시에 도착한 이들은 휴식을 몇시간 취한 뒤 가상적으로 참가한 베이징군구 모 장갑여단과 실전 훈련에 들어갔다.
기계화보병여단 지휘관들은 이번 군구 합동 훈련이 장거리 기동을 하면서 생소한 지형에 들어가 가상적과 대항하는 훈련과정으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기동 도중에는 위성정찰, 전자파 교란, 도로 파괴, 생화학무기 공격 등 각종 돌발 상황에 대비하는 훈련을 했다. 이번 훈련의 총지휘부에는 육군 소속 여러 곳의 지휘학교 교관들을 비롯해 관련 군구 합동 전술훈련기지 소속 5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기계화보병여단을 상대로 장거리 기동, 화력 타격, 엄호, 종합 보장 등의 능력을 전체적으로 챙기는 한편 종합 평가를 내릴 예정이다. 해방군 군사 전문가들은 이번 훈련이 육군 기계화 부대의 전력 향상에 새로운 페이지를 여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병부대 지휘관들은 “연습 훈련이지만 우리는 한시가 빠짐없이 전쟁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며 “오늘날 정보화 전쟁에서는 적들의 공격이 예상치 못했을 때 수시로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홍인표특파원 iphong@kyunghyang.com〉 |
|||||||
- 2006년 9월 11일(월) 7:49 [경향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