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9일부터 진행할 경제분과의 커리입니다. 보완이 가능합니다.
1. 시장체계의 구성원리들
- 희소성의 문제
-효율성 달성의 목표
- 수단으로서 합리성(경쟁의 원리와 사유재산권)
2. 시장(가격의 법칙)의 성립조건들
- 시장이론은 가격중심의 이론
- 분석 단위는 개인 차원
- 시장은 충분히 경쟁적일 것
- 한계효용체감 및 한계생산체감(한계비용체증)이 성립할 것
- 외부성이 존재하지 않을 것
3.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상품의 특성 : 경합성과 배제성이 있는 상품에 제한
- 경합성과 배제성 중 하나라도 없을 경우 시장은 실패
- 경합성과 배제성이 없는 상품 : 공공재
- 경합성은 있으나 배제성이 없는 상품 : 공유자원 (공동지의 실패 대 협력의 효율성)
- 경합성은 없으나 배제성이 있는 상품 : 대부분의 지식재를 포함해 서비스(자연독점으로 귀결)
4. 기술진보와 총비용에서 고정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대 경향성
- 생산에서 소비 중심으로 이동
- 기술진보와 시장체계의 경쟁구조 약화(생산과 비용 개념 참조)
- 제조기술의 평균화와 노동시장구조의 변화(청년층실업과 비정규직의 문제 등)
- 경제의 서비스화 및 금융화(실물부문과 금융부문의 분리 및 금융 주도의 경제구조)
5. 유형재에서 무형재로 가치의 이동
- 유형재의 기본특성들 : 경합성(희소성과 수확체감의 세계), 분리와 배제가 가능, 경쟁과 사유재산권
- 무형재의 기본특성들 : 비경합성(풍부성과 수확체증의 세계), 가치의 집합적 성격(스밈과 섞임 그리고 복합성), 협력과 공유
6. 기업구조와 금융시스템의 다양성
- 수익성(주주가치 중시의 자본주의) 대 성장성(이해관계자 자본주의)
- 직접금융시스템(자본시장 중심의 금융구조) 대 간접금융시스템(은행 중심의 금융구조)
7. 국민소득의 기본구조
- 총수요와 총공급 그리고 물가
- 총수요의 구성요인들 : 가계소비, 기업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수출-수입)
- 기술진보와 총공급 체계의 변화 : 신경제 현상, 인플레이션의 약화 등
- 경제정책(재정 및 통화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입장 차이 : 시장에 대한 신뢰의 정도에 따른 차이
8. 생산성과 사회적 자본
- 생산성의 유형과 정의
- 생산성과 사회적 자본
- 경제성장에서 생산성의 역할과 한계
1. 시장체계의 구성원리들
- 희소성의 문제
-효율성 달성의 목표
- 수단으로서 합리성(경쟁의 원리와 사유재산권)
2. 시장(가격의 법칙)의 성립조건들
- 시장이론은 가격중심의 이론
- 분석 단위는 개인 차원
- 시장은 충분히 경쟁적일 것
- 한계효용체감 및 한계생산체감(한계비용체증)이 성립할 것
- 외부성이 존재하지 않을 것
3.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상품의 특성 : 경합성과 배제성이 있는 상품에 제한
- 경합성과 배제성 중 하나라도 없을 경우 시장은 실패
- 경합성과 배제성이 없는 상품 : 공공재
- 경합성은 있으나 배제성이 없는 상품 : 공유자원 (공동지의 실패 대 협력의 효율성)
- 경합성은 없으나 배제성이 있는 상품 : 대부분의 지식재를 포함해 서비스(자연독점으로 귀결)
4. 기술진보와 총비용에서 고정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대 경향성
- 생산에서 소비 중심으로 이동
- 기술진보와 시장체계의 경쟁구조 약화(생산과 비용 개념 참조)
- 제조기술의 평균화와 노동시장구조의 변화(청년층실업과 비정규직의 문제 등)
- 경제의 서비스화 및 금융화(실물부문과 금융부문의 분리 및 금융 주도의 경제구조)
5. 유형재에서 무형재로 가치의 이동
- 유형재의 기본특성들 : 경합성(희소성과 수확체감의 세계), 분리와 배제가 가능, 경쟁과 사유재산권
- 무형재의 기본특성들 : 비경합성(풍부성과 수확체증의 세계), 가치의 집합적 성격(스밈과 섞임 그리고 복합성), 협력과 공유
6. 기업구조와 금융시스템의 다양성
- 수익성(주주가치 중시의 자본주의) 대 성장성(이해관계자 자본주의)
- 직접금융시스템(자본시장 중심의 금융구조) 대 간접금융시스템(은행 중심의 금융구조)
7. 국민소득의 기본구조
- 총수요와 총공급 그리고 물가
- 총수요의 구성요인들 : 가계소비, 기업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수출-수입)
- 기술진보와 총공급 체계의 변화 : 신경제 현상, 인플레이션의 약화 등
- 경제정책(재정 및 통화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입장 차이 : 시장에 대한 신뢰의 정도에 따른 차이
8. 생산성과 사회적 자본
- 생산성의 유형과 정의
- 생산성과 사회적 자본
- 경제성장에서 생산성의 역할과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