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생각과 거의 모든게 일치하네요. 참고하세요.
구체적 대안과 이상
며칠전에 신문에서 주식투자에 관한 격언을 읽다가 재미있는 표현을 보았다.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번은 맞는다. 항상 낙관하는 사람과 늘 비관에만 젖어있는 사람은 말하자면 고장난 시계와 같다.”
오히려 현실에 맞게 자꾸 수정하는 시계는 어쩌면 단 한번도 “정확하게” 맞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현실을 헤쳐나가는데 고장난 시계보다 현실에 도움이 많이 된다. 죽을 때까지 자본주의의 공황위기를 외치는 사람은 아마도 운이 좋으면 한번쯤은 자신의 ‘예언’이 맞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안을 이야기하기 전에 대전제가 있다. 대안에 대한 토론은 그래도 토론참가자들이 어느 정도 기본적인 방향성이 맞아야 유의미한 토론이 된다. ‘아, 내가 저런 부분을 놓치고 있었구나!” “아, 저 문제는 저렇게 해결할 수도 있구나!”하는 순간 그것은 피가 되고 살이 된다.
“나는 기본방향부터 당신과 틀려. 그건 신자유주의자, 시장지상주의자, 국가주의자, 좌파주의자 등의 이야기야.” 이런 상호토론은 차라리 않하느니만 못하다. 왜냐하면 구체적 대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왜 그것이 옳은지를 주장하려면 결국 그 <원리적 측면>을 제시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보자. 공공서비스(예: 전력 등)의 민영화에 대해서 토론을 하다보면 결국은 <시장>에 대한 “관점”, <국가>에 대한 “관점”, <공공성>에 대한 “관점”이 때로는 근본적으로 달라서 이야기가 안되고 것돌게 된다.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에는 찬성하되, 기존 대기업에게 경영권을 주는가 아니면 지배주주가 없는 다양한 투자자를 대변하는 이사회에 경영권을 주는가 아니면 주식공모를 통한 국민주 기업화 여부(이 때 물론 주식시장에 대한 긍정 필요), 경쟁체제의 도입 여부, 공공성 담보를 위한 규제정책(가격 등) 등에 대해서는 토론이 가능하지만, 소위 주류경제학자와 맑스경제학자간에는 토론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러다임이 다른 사람들간에는 토론이 되지 않는다. 그 경우에는 패러다임이 옳바른지 또는 패러다임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부터 따져야 한다.
지난번 정치적 성향 측정 웹사이트를 모방하여 조잡하게나마 자신이 속한 패러다임을 따져보자. (좌/우에 대한 기준만 나열하였다. 권위적/리버럴에서는 대부분 리버럴하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패러다임
(1) 자본주의(시장, 경쟁)에 대한 긍정/부정 여부,
A. 사회악이며 위기에 닥칠 것이며 극복대상
B. 기본적으로 긍정적/낙관적이며 부분적으로 수정보완 대상
C. 사회적으로 유일한 선이며 자유방임 지향
(2) 세계화/경제개방에 대한 긍정/부정 여부
A. 민족적 자립경제, 외국자본에 대한 규제
B. 기본적으로 긍정 및 개방 지향, 부작용 최소화 정책 마련
C. 전면적 개방, 모든 규제 철폐
(3) 자본가와 노동자의 대립에 대한 시각
A. 자본가는 나쁘다.
B. 자본가가 나쁠 때도 있고 노동자가 나쁠 때도 있다.
C. 노동자는 나쁘다.
(4) 미국에 대한 시각
A. 미국은 제국주의자이므로 대체로 안좋다.
B. 미국은 사회체제가 옳은 것도 있고 나쁜 것도 있으며 그 대외정책도 옳은 것도 있고 나쁜 것도 있다.
C. 미국은 선진경제와 자유와 민주의 나라로써 대체로 좋다.
(5) 북한정권에 대한 시각
A. 북한은 민족적 자존심의 상징이다. 미국을 상대로 잘 버티고 있다.
B. 북한정권에 찬성하지 않지만 무너져서는 안된다.
C. 북한정권은 인권을 극악하게 억압하는 정권으로써 무너지기를 바라며 김정일은 반인권적 행위로 법정에 서야 한다.
(6) 유엔은 국제안보를 저해하는 행위를 (평화적 또는 무력적 수단을 동원하여) 저지할 권한이 있는가
A. 어떠한 이유로도 무력침공은 정당화될 수 없다.
B. 유엔의 결의에 의하여 명백한 인권침해(대규모 정치적 살인행위 등) 및 국제안보 위협(대량살상무기 개발 등)을 저지하기 위해 최종적 방법으로 무력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C. 유엔의 논의가 지지부진하여 어떤 나라에서 생화학 수단에 의한 종족말살 등 심각한 인권침해가 계속될 때 유엔의 결의 없이도 일부 국가가 무력수단을 통해서 저지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A, B, C 어느 한편에 서더라도 그 안에는 다양한 견해의 차이가 있다. 그것은 충분히 토론되어 질 수 있다. 즉 그것은 “어떻게”의 문제로 되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구체적 대안들이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에 대한 토론이다.
그러나 세 진영간에는 구체적 대안에 대한 토론이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신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패러다임 자체에 대한 논의를 해야지 구체적 대안에 대해서는 논의해도 헛바퀴만 돌 뿐이다.
예를 들어 보자.
(1) 자본주의에 대한 시각
A. 자본주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B. 자본주의의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C. 자본주의에 대한 규제를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2) 세계화/개장경제에 대한 시각
A. 세계화를 어떻게 저지할 것인가
B. 세계화에 따르는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C. 세계화에 대한 규제를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3) 자본가/노동자에 대한 시각
A. 어떤 점에서 자본가가 잘못한 것인지 생각한다
B. 각각의 케이스에서 누가 잘못한 것인지 생각한다
C. 어떤 점에서 노동자가 잘못한 것인지 생각한다
(4) 미국에 대한 시각
A. 어떻게 하면 미국을 효과적으로 반대할 것인가
B. 어떻게 하면 미국의 좋은 점을 본받고 나쁜 점은 회피할 것인가
C. 어떻게 하면 미국을 본받을 것인가
(5) 북한에 대한 시각
A. 북한정권의 장점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알릴 수 있는가
B. 어떻게 하면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가
C. 어떻게 하면 북한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는가
(6) 국제안보에 대한 시각
A. 어떻게 무력침공을 저지할 것인가
B. 어떤 절차와 어떤 수단을 써서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저지할 것인가
C. 어떻게 효과적으로 무력수단을 통해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저지할 것인가
구체적 대안에 대한 토론은 A, B, C 진영 내에서 어떤 구체적 대안이 자신의 목표를 더 잘 실현시켜 줄 수 있는가에 대한 토론이다. 어떠한 것이 이상인가에 대해서는 더 이상 구체적 대안의 토론이 아니라 이상 자체에 대한 토론이 되어야 한다.
자꾸 민노당의 예를 들어서 미안하다. 하지만 현재 대중적으로 정립된 정치세력 내에서 좌파를 대변하는 유일한 세력이 민노당이므로 어쩔 수 없다. 민노당 안에도 다양한 사람들이 있지만, 정당은 강령으로 자신을 말한다. 따라서 민노당에 대한 비판은 우선적으로 강령에 대한 것이다.
민노당은 (공식적 강령을 통해서) (1) 자본주의를 극복대상으로 본다. (2) 세계화는 저지해야 한다고 본다. (3) 노동자는 잘못하는 것이 없다고 본다. (4) 미국은 제국주의라고 본다. (5) 북한은 장점이 있다거나(NL) 아니면 현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본다. (6) 모든 무력침공에 반대한다. 즉 모두 A이다. (틀렸다면 지적바란다. 사실 나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나는 지난 10년간 변화하였고 어떤 사람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자칭 진보주의자라고 하는 사람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체로 이러하다. 진보누리 같은 웹사이트를 가보아도 마찬가지이다.) 민노당 당원이라면 자신의 정당강령에 충실하거나 아니면 잘못된 견해라고 생각되면 당내에서 그것을 수정하기 위해서 싸워야 한다. 아니면 탈당해야 한다(광현이 말대로 exit or voice). 때로 사람들은 왜곡된 정치지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영남의 서민들은 평상시에는 경제에 대해 서민지향적 견해를 갖고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한나라당을 지지한다. 그것은 자신의 실제적 정치지향과 어긋나는, 관성에 의한 정치지향이다.
나는 A 견해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는 함께 대안을 이야기하는 것이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오히려 서로의 이상 자체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본다.
참고로 나의 견해를 조잡하게 나마 밝힌다.
나는 정치적 견해 측정 웹사이트 결과에 밝힌 바대로 (Left/Right: -0.7) (Authoritarian/Libertarian: -2.7) 각각 10의 극단숫자에 비하면 거의 상하좌우 중간에 위치한 중도주의자이다. (최근에 미국에서는 중도가 항상 온건하다는 견해에 반박하는 <급진적 중도>라는 책도 나왔다.)
(1) 자본주의(시장/경쟁)에 대해서 70% 찬성한다. 문제되는 30%의 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2) 세계화/개장경제에 대해서 70% 찬성한다. 문제되는 30%의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3) 자본가/노동자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바라본다.
(4) 미국에 대해서는 70% 찬성한다. 30% 반대한다. (만약 내가 18세기 유럽이나 동양의 한 국가에 있었다면 아마도 영국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말했을 것이다. 비록 프랑스가 어쩌면 당시 영국보다 살기 좋았을지도 모르지만…)
(5) 북한에 대해서는 100% 반대하며 김정일은 국제인권재판소에 회부되어야 한다.
(6) 심각한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대해서는 유엔의 합의 절차를 거쳐서 적절한 방식을 통해서 저지시켜야 한다. 필요하다면 유엔 합의하의 무력적 수단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적절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무력 저지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수정주의로 욕먹었던 베른쉬타인에서 출발한 유럽의 중도좌파 사민주의자들은 (3)번은 노동자쪽에 무게중심이 좀 더 가있지만 (요즘은 그렇지도 않지만) (1)-(6)번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일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누가 이러한 견해를 대변하고 있는가?
나는 A보다는 B에 가까운 것이 역사적/현실적으로 더 진보적이라고 본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이런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이미 70%이상은 될 것이다. 그래서 “개혁”이 인기인 것이다. 개혁이 무엇인가? 기본적으로는 현 체제가 70% 옳은데 30% 문제점을 고치자는 것이 아닌가. 이들이 노무현을 지지하였다. 물론 다수가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나는 이러한 견해가 다수이기 때문에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옳기 때문에 결국 다수가 된 것이라고 본다. 나는 그래서 이들 다수의 견해가 옳바른 방향에 기초하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한국은 비전이 있다고 본다.) 어떤 사람들은 현실의 느낌으로 이러한 경향을 가지고 있다. 정치세력은 여기에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구체적 대안과 이상
며칠전에 신문에서 주식투자에 관한 격언을 읽다가 재미있는 표현을 보았다.
“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번은 맞는다. 항상 낙관하는 사람과 늘 비관에만 젖어있는 사람은 말하자면 고장난 시계와 같다.”
오히려 현실에 맞게 자꾸 수정하는 시계는 어쩌면 단 한번도 “정확하게” 맞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현실을 헤쳐나가는데 고장난 시계보다 현실에 도움이 많이 된다. 죽을 때까지 자본주의의 공황위기를 외치는 사람은 아마도 운이 좋으면 한번쯤은 자신의 ‘예언’이 맞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안을 이야기하기 전에 대전제가 있다. 대안에 대한 토론은 그래도 토론참가자들이 어느 정도 기본적인 방향성이 맞아야 유의미한 토론이 된다. ‘아, 내가 저런 부분을 놓치고 있었구나!” “아, 저 문제는 저렇게 해결할 수도 있구나!”하는 순간 그것은 피가 되고 살이 된다.
“나는 기본방향부터 당신과 틀려. 그건 신자유주의자, 시장지상주의자, 국가주의자, 좌파주의자 등의 이야기야.” 이런 상호토론은 차라리 않하느니만 못하다. 왜냐하면 구체적 대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왜 그것이 옳은지를 주장하려면 결국 그 <원리적 측면>을 제시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보자. 공공서비스(예: 전력 등)의 민영화에 대해서 토론을 하다보면 결국은 <시장>에 대한 “관점”, <국가>에 대한 “관점”, <공공성>에 대한 “관점”이 때로는 근본적으로 달라서 이야기가 안되고 것돌게 된다.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에는 찬성하되, 기존 대기업에게 경영권을 주는가 아니면 지배주주가 없는 다양한 투자자를 대변하는 이사회에 경영권을 주는가 아니면 주식공모를 통한 국민주 기업화 여부(이 때 물론 주식시장에 대한 긍정 필요), 경쟁체제의 도입 여부, 공공성 담보를 위한 규제정책(가격 등) 등에 대해서는 토론이 가능하지만, 소위 주류경제학자와 맑스경제학자간에는 토론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러다임이 다른 사람들간에는 토론이 되지 않는다. 그 경우에는 패러다임이 옳바른지 또는 패러다임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부터 따져야 한다.
지난번 정치적 성향 측정 웹사이트를 모방하여 조잡하게나마 자신이 속한 패러다임을 따져보자. (좌/우에 대한 기준만 나열하였다. 권위적/리버럴에서는 대부분 리버럴하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패러다임
(1) 자본주의(시장, 경쟁)에 대한 긍정/부정 여부,
A. 사회악이며 위기에 닥칠 것이며 극복대상
B. 기본적으로 긍정적/낙관적이며 부분적으로 수정보완 대상
C. 사회적으로 유일한 선이며 자유방임 지향
(2) 세계화/경제개방에 대한 긍정/부정 여부
A. 민족적 자립경제, 외국자본에 대한 규제
B. 기본적으로 긍정 및 개방 지향, 부작용 최소화 정책 마련
C. 전면적 개방, 모든 규제 철폐
(3) 자본가와 노동자의 대립에 대한 시각
A. 자본가는 나쁘다.
B. 자본가가 나쁠 때도 있고 노동자가 나쁠 때도 있다.
C. 노동자는 나쁘다.
(4) 미국에 대한 시각
A. 미국은 제국주의자이므로 대체로 안좋다.
B. 미국은 사회체제가 옳은 것도 있고 나쁜 것도 있으며 그 대외정책도 옳은 것도 있고 나쁜 것도 있다.
C. 미국은 선진경제와 자유와 민주의 나라로써 대체로 좋다.
(5) 북한정권에 대한 시각
A. 북한은 민족적 자존심의 상징이다. 미국을 상대로 잘 버티고 있다.
B. 북한정권에 찬성하지 않지만 무너져서는 안된다.
C. 북한정권은 인권을 극악하게 억압하는 정권으로써 무너지기를 바라며 김정일은 반인권적 행위로 법정에 서야 한다.
(6) 유엔은 국제안보를 저해하는 행위를 (평화적 또는 무력적 수단을 동원하여) 저지할 권한이 있는가
A. 어떠한 이유로도 무력침공은 정당화될 수 없다.
B. 유엔의 결의에 의하여 명백한 인권침해(대규모 정치적 살인행위 등) 및 국제안보 위협(대량살상무기 개발 등)을 저지하기 위해 최종적 방법으로 무력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C. 유엔의 논의가 지지부진하여 어떤 나라에서 생화학 수단에 의한 종족말살 등 심각한 인권침해가 계속될 때 유엔의 결의 없이도 일부 국가가 무력수단을 통해서 저지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A, B, C 어느 한편에 서더라도 그 안에는 다양한 견해의 차이가 있다. 그것은 충분히 토론되어 질 수 있다. 즉 그것은 “어떻게”의 문제로 되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구체적 대안들이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에 대한 토론이다.
그러나 세 진영간에는 구체적 대안에 대한 토론이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신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패러다임 자체에 대한 논의를 해야지 구체적 대안에 대해서는 논의해도 헛바퀴만 돌 뿐이다.
예를 들어 보자.
(1) 자본주의에 대한 시각
A. 자본주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B. 자본주의의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C. 자본주의에 대한 규제를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2) 세계화/개장경제에 대한 시각
A. 세계화를 어떻게 저지할 것인가
B. 세계화에 따르는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C. 세계화에 대한 규제를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
(3) 자본가/노동자에 대한 시각
A. 어떤 점에서 자본가가 잘못한 것인지 생각한다
B. 각각의 케이스에서 누가 잘못한 것인지 생각한다
C. 어떤 점에서 노동자가 잘못한 것인지 생각한다
(4) 미국에 대한 시각
A. 어떻게 하면 미국을 효과적으로 반대할 것인가
B. 어떻게 하면 미국의 좋은 점을 본받고 나쁜 점은 회피할 것인가
C. 어떻게 하면 미국을 본받을 것인가
(5) 북한에 대한 시각
A. 북한정권의 장점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알릴 수 있는가
B. 어떻게 하면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가
C. 어떻게 하면 북한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는가
(6) 국제안보에 대한 시각
A. 어떻게 무력침공을 저지할 것인가
B. 어떤 절차와 어떤 수단을 써서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저지할 것인가
C. 어떻게 효과적으로 무력수단을 통해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저지할 것인가
구체적 대안에 대한 토론은 A, B, C 진영 내에서 어떤 구체적 대안이 자신의 목표를 더 잘 실현시켜 줄 수 있는가에 대한 토론이다. 어떠한 것이 이상인가에 대해서는 더 이상 구체적 대안의 토론이 아니라 이상 자체에 대한 토론이 되어야 한다.
자꾸 민노당의 예를 들어서 미안하다. 하지만 현재 대중적으로 정립된 정치세력 내에서 좌파를 대변하는 유일한 세력이 민노당이므로 어쩔 수 없다. 민노당 안에도 다양한 사람들이 있지만, 정당은 강령으로 자신을 말한다. 따라서 민노당에 대한 비판은 우선적으로 강령에 대한 것이다.
민노당은 (공식적 강령을 통해서) (1) 자본주의를 극복대상으로 본다. (2) 세계화는 저지해야 한다고 본다. (3) 노동자는 잘못하는 것이 없다고 본다. (4) 미국은 제국주의라고 본다. (5) 북한은 장점이 있다거나(NL) 아니면 현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본다. (6) 모든 무력침공에 반대한다. 즉 모두 A이다. (틀렸다면 지적바란다. 사실 나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나는 지난 10년간 변화하였고 어떤 사람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자칭 진보주의자라고 하는 사람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체로 이러하다. 진보누리 같은 웹사이트를 가보아도 마찬가지이다.) 민노당 당원이라면 자신의 정당강령에 충실하거나 아니면 잘못된 견해라고 생각되면 당내에서 그것을 수정하기 위해서 싸워야 한다. 아니면 탈당해야 한다(광현이 말대로 exit or voice). 때로 사람들은 왜곡된 정치지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영남의 서민들은 평상시에는 경제에 대해 서민지향적 견해를 갖고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한나라당을 지지한다. 그것은 자신의 실제적 정치지향과 어긋나는, 관성에 의한 정치지향이다.
나는 A 견해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는 함께 대안을 이야기하는 것이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오히려 서로의 이상 자체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본다.
참고로 나의 견해를 조잡하게 나마 밝힌다.
나는 정치적 견해 측정 웹사이트 결과에 밝힌 바대로 (Left/Right: -0.7) (Authoritarian/Libertarian: -2.7) 각각 10의 극단숫자에 비하면 거의 상하좌우 중간에 위치한 중도주의자이다. (최근에 미국에서는 중도가 항상 온건하다는 견해에 반박하는 <급진적 중도>라는 책도 나왔다.)
(1) 자본주의(시장/경쟁)에 대해서 70% 찬성한다. 문제되는 30%의 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2) 세계화/개장경제에 대해서 70% 찬성한다. 문제되는 30%의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3) 자본가/노동자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바라본다.
(4) 미국에 대해서는 70% 찬성한다. 30% 반대한다. (만약 내가 18세기 유럽이나 동양의 한 국가에 있었다면 아마도 영국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말했을 것이다. 비록 프랑스가 어쩌면 당시 영국보다 살기 좋았을지도 모르지만…)
(5) 북한에 대해서는 100% 반대하며 김정일은 국제인권재판소에 회부되어야 한다.
(6) 심각한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대해서는 유엔의 합의 절차를 거쳐서 적절한 방식을 통해서 저지시켜야 한다. 필요하다면 유엔 합의하의 무력적 수단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적절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무력 저지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수정주의로 욕먹었던 베른쉬타인에서 출발한 유럽의 중도좌파 사민주의자들은 (3)번은 노동자쪽에 무게중심이 좀 더 가있지만 (요즘은 그렇지도 않지만) (1)-(6)번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일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누가 이러한 견해를 대변하고 있는가?
나는 A보다는 B에 가까운 것이 역사적/현실적으로 더 진보적이라고 본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이런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이미 70%이상은 될 것이다. 그래서 “개혁”이 인기인 것이다. 개혁이 무엇인가? 기본적으로는 현 체제가 70% 옳은데 30% 문제점을 고치자는 것이 아닌가. 이들이 노무현을 지지하였다. 물론 다수가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나는 이러한 견해가 다수이기 때문에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옳기 때문에 결국 다수가 된 것이라고 본다. 나는 그래서 이들 다수의 견해가 옳바른 방향에 기초하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한국은 비전이 있다고 본다.) 어떤 사람들은 현실의 느낌으로 이러한 경향을 가지고 있다. 정치세력은 여기에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