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이후' 대비한 베이징의 一企劃

by 永樂 posted Jul 15, 2003
8월 상순까지 다자회담에 관한 평양의 답변이 없으면,
중대한 조치를 고려할 수도 있다는 베이징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이미 두 차례나 북핵 문제의 유엔안보리 상정을 막았고,
근자의 한중 정상회담에선 "우리 관할"이란 메시지까지 워싱턴에 보낸 베이징이다.
이제 평양이 上國의 성의(?)에 답하지 않으면 진노가 미칠 수 있다.

기개와 포부가 있는 겨레의 장부라면,
한반도를 공기돌 마냥 다루는 미중 간의 힘겨루기를 보며
어이 울분을 참을 것이며 어이 가슴이 시커멓게 타들어가지 않으리.

이젠 한 술 더 떠 '김정일 이후'를 대비한 베이징의 다양한 준비가,
우리의 눈에 시시각각 들어온다.

아래에 그 한 예가 있다. 눈 부릅뜨고 보라.
국내에선 오로지 모든 눈이 내년 총선으로 쏠리고 있건만,
그들은 이미 '한반도의 장래'를 자신의 입맛대로 구상하고 있다.
19세기 중반 도쿄의 征韓論이 생각나는 섬짓한 현실이다.

지금 분명한 건,
더 이상 민족의 장래에 관한 설계와 대비를 더는 후일로 미룰 수 없음이다.
~~~~~~~~~~~~~~~~~~~~~~~~~~~~~~~~~~~~~~~~~~~~~~

"고구려를 중국사의 일부로"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ffice=joins&article_id=468317


[중앙일보] [속보, 연예, 생활/문화] 2003-07-14 21:15:00

중국이 고구려(BC 37~AC 664)를 중국 역사로 편입시키기 위한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최근 달라지고 있는 동북아 정세를 감안, 중국이 고구려의 중국 역사 편입을 기정사실화함으로써 향후에 야기될 수 있는 영토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작업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기관은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www.chinaborderland.com). 이 연구소는 1983년에 중국 변방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해 설립된 것으로 지난 해부터 동북 3성 지역을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삼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해 2월, '동북공정(東北工程)' 프로젝트를 확정해 왕락림(王洛林) 사회과학원 부원장을 중심으로 지린(吉林).헤이룽(黑龍).랴오닝(遼寧) 등 동북 3성의 사회과학원과 이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및 연구기관을 총동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젝트는 '나라의 통일과 변방지역의 안정'에 대한 정치의식 등 5가지 원칙에 따라 수행되고 있다. 이 사업에는 전체적으로 5년간 약 2백억 위안(우리 돈 약 3조원)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연구소는 지난 해 7월 9일부터 13일까지 관련 학자 1백여명을 참여시킨 가운데 고구려 전반에 관련된 특별 토론회를 가졌는데 논문 70여편이 발표됐다.

가장 중요한 쟁점은 고구려의 기원과 아울러 귀속과 관련된 것이었다. 참가자들은 '고구려=중국 변방의 민족정권'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를 어떻게 이론적으로 정당화할 것인지 논의를 거듭했다.

프로젝트 계획서에 따르면 '중국의 동북지역이 근대 이후 전략적 요충지일 뿐 아니라,특히 개혁.개방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 지역에 대한 역사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중국은 그 연구가 중국 역사를 왜곡하거나 정치적 목적으로 오도,혼란시키는 일이 벌어지는 등 새로운 도전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학자들은 한국을 비롯한 관련 당사국을 방문, 연구성과에 대한 조사 작업을 벌이고 있으며,중국 내부에서 연구자들을 조직화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장석흥(국민대.한국사)교수는 "베트남의 통일 이후 국경문제로 곤욕을 치른 중국이 북한의 상황 변화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프로젝트에 소속된 조선족 연구자들의 입장이다. 조선족 한 역사학자는 "처음에는 고구려를 조선사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으나 이제는 중국사로 보는데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며 "이제 논리적으로나 실증적으로 중국에 밀리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은 한국사에 대한 중요한 도전이자 위기가 될것으로 예견된다. 이와 관련, 송기호(서울대.발해사 및 고구려사)교수는 "얼마 전 중국학자들이 자신의 논문과 책 등 연구 성과를 모두 수집해 갔다"고 말해 이같은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는 "우리도 중국처럼 문화주의적으로 고구려 역사에 접근하려는 긴 안목의 연구계획을 세워야 할 것"고 충고했다.

베이징.옌볜=김창호 학술전문기자 wjsans@joongang.co.kr


[中학계의 고구려 해석] '평양천도 前까진 중국사' 입장서

고구려와 관련, 중국 학계는 그간 3가지 입장을 취해 왔다.

첫째, 고구려를 한국사에 포함시키는 것, 둘째, 중국사에 귀속시키는 것, 세번째는 중간적 '일사이용(一史二用: 하나의 역사를 둘로 해석하는 것)'이다. 세번째의 경우 평양천도(427년, 장수왕) 이전을 중국사로, 이후를 한국사로 간주해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이같은 해석에 변화가 일고 있다. '수도를 옮겼다고 국가의 성격마저 변화했다고 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고구려사 전체를 중국사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진행되는 것은 이 연장선 상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16 [pressian]'불가침 보장' 놓고 美강온파 갈등 이왕재 2003.07.23 1491
115 한국인들의 착각... 김준섭 2003.07.23 1625
114 제가 쓰는 세계사...이탈리아 - 3 김준섭 2003.07.23 1612
113 이 기사가 사실일까요? 民主 2003.07.22 1557
112 북한관련 기사의 대부분은 거짓이지요 유동걸 2003.07.22 1619
111 아마 사실일 겝니다... 永樂 2003.07.22 1596
110 제가 쓰는 세계사.....이탈리아 - 2 김준섭 2003.07.21 1631
109 제가 쓰는 세계사.....이탈리아 - 1 김준섭 2003.07.21 1706
108 평양의 이데올로그... 永樂 2003.07.21 1558
107 난, 아직도 正論에 굶주려 있다 이윤주원 2003.07.18 1500
106 <윤창중> 정권의 레드 라인 永樂 2003.07.16 1567
105 <유호열> 北 핵개발 용인할 건가 永樂 2003.07.16 1536
» '김정일 이후' 대비한 베이징의 一企劃 永樂 2003.07.15 1738
103 <탁론>`탈북자` 더이상 방관말라 永樂 2003.07.15 1533
102 <시론>또 하나의 北核 永樂 2003.07.14 1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 32 Next
/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