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한국의 영토문제 제기 막기 위한 포석
media_dongmin@hanmail.net
![]() |
|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일대에 있는 시태왕릉 전경. 고구려의 유산 중 하나다. ⓒ고려대 최종택 교수 제공 | |
하지만 90년대 들어서 사정이 달라졌다. 중국 학자들이 대거 고구려사 연구를 시작하면서 중국의 공식적 견해를 정리하는 과정을 밟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90년대 중반부터는 고구려사를 논의하는 연구 세미나를 잇따라 개최하고, 다양한 주제의 연구서적을 펴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눈에 띄는 연구단체가 '중국사회과학원'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은 96년 중국 학자들을 상대로 '고대중국 고구려역사'를 집필 사업으로 선정했다. 2001년 이후엔 산하 단체인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 을 앞세워 고구려사 관련 학술대회를 주도했다. 2002년 2월에는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이 '동북공정(東北工程)' 추진을 선포했다. '동북공정'이란 고대 중국의 동북쪽 지방에 자리를 잡았던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에 대한 역사 연구는 물론 해당 지역의 현재 상황에 대한 연구까지 포괄적으로 진행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문제는 동북공정을 주도하는 중국사회과학원이 중국 정부 산하의 공식 기구라는 점. 경희대 임기환 교수는 "중국사회과학원은 학술단체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사편찬위원회 같은 정부 조직 내 공식 기구"라고 설명했다. 고구려사 연구가 중국 정부의 지원 아래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통일한국에 간도 내줄 수 없다"
![]() |
|
조선말기에 바티칸 교황청이 제작한 조선의 지도. 간도 지역이 조선의 영토로 포함돼 있다. 간도지역은 국권을 불법으로 빼앗은 일제와 청나라의 협약에 의해 중국으로 넘어갔으나, 통일 후 통일한국에 의해 협약 무효화 선언과 함께 분쟁 지역으로 떠오를 수도 있다. | |
"평양의 고구려 유적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 학문적으로 고구려사는 한민족의 것이 됩니다. 중국이 바라는 바는 아니죠. 그리고 자국 국민에게 국적을 주려는 남한의 움직임도 중국을 자극한 것으로 보입니다. 매년 10~30만 명에 달하는 탈북자 문제도 걱정이 됐겠죠."
이와 함께 학계에서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뒤에는 무서운 노림수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국외대 여호규 교수는 "통일 후를 대비한 중국의 포석"으로 해석했다.
"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하면서 중국의 동북지방에서는 한국열풍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북한의 상황도 유동적으로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으로서는 한국의 통일 후 만주 지방을 두고 생길 수 있는 분쟁에 대비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 것입니다."
중국은 한국이 통일된 이후 두만강과 압록강 이북지역에서 영토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간도지역의 영유권에 대해서는 국제법적 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
"중국은 남북이 통일된 후 간도를 포함한 만주 지역의 주민들이 한국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한국외대 여호규 교수. ⓒ미디어다음 신동민 | |
여교수는 "중국은 남북이 통일된 후 간도를 포함한 만주 지역의 주민들이 한국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며 "통일한국이 강제로 국권을 침탈한 일제에 의해 체결된 간도협약의 무효화를 주장하며, 영토 반환을 요구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통일한국이 간도협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은 국제법상으로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중국과 북한이 60년대에 체결한 것을 알려지고 있는 국경조약도 남북이 통일될 경우, 남한 입장에서는 "비합법적 정부간에 체결된 조약이므로 무효"라는 주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은 통일한국이 간도지역에 대한 연고권을 주장하며, 간도 일대를 국제법적으로 영토 분쟁지역화 할 것을 우려해 고구려사 왜곡을 통해 미리 역사적 연고권을 주장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만주 지역의 조선족을 포함한 주민들 사이에는 한류열풍이 불고 있어, 통일한국과 국경을 맞댈 경우 독립 및 자치권 쟁취 운동을 벌이고 있는 티베트보다 더 골치 아픈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북한 붕괴 후 북한 지역에 대한 연고권 주장할지도
![]() |
|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 평야 전경. ⓒ고려대 최종택 교수 제공 | |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서울대 송기호 교수는 '역사비평' 겨울호에 기고한 글을 통해 "중국이 북한이 붕괴한 이후 북한 지역에 대한 연고권을 주장하려 한다"고 우려했다. 송 교수는 또 "북한 땅에 대한 기득권을 주장하며 신라계 국가만 우리에게 떼어주려고 하는 마당에 중국과 제2의 나당전쟁을 벌여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한국외대 여호규 교수는 "고려가 원나라를 한반도에서 몰아내자, 원 다음에 중원을 장악한 명나라가 원산만의 철령위를 회복하려 했던 사실을 두고, 중국 학자들은 '중국영토를 회복하기 위한 전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며 "중국이 한국사의 기본 줄기를 흔들며 영토와 관련된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는 상황이다"고 분석했다.
여 교수는 또 "이런 상황에서 일본이 한반도 남부에 일복의 고대 식민지가 있었다는 임나일본부설까지 들고 나온다면 한국사는 통째로 흔들리면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 자체가 사라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고구려사를 그럴 듯하게 포장해 중국사에 포함시키려는 중국의 의도에 대해, 한국의 고구려사 전공자들은 "중국의 주장은 사실을 왜곡하는 터무니 없는 말장난"이라고 치부하면서도, "가만히 있으면 앉아서 당한다"며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과 역사전쟁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입을 모은다.
![]() | ||||||||||
| ||||||||||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
176 | 고구려는 한국과 중국의 공통의 역사 | 民主 | 2003.12.10 | 1827 |
175 | [re] 고구려는 한국과 중국의 공통의 역사 : 황당하군요 | 이용찬 | 2003.12.12 | 1710 |
174 | 교육문제 토론 한 번 합시다... | 永樂 | 2003.12.09 | 2056 |
173 | '새로운 차르' 푸틴? <업코리아> | 永樂 | 2003.12.09 | 1789 |
» | 무서운 중국의 노림수 <다음> | 永樂 | 2003.12.08 | 1928 |
171 | 양성자가속기의 이중성-최종목적은 핵폐기물 변환사업 | 사랑과정의 | 2003.12.06 | 1798 |
170 | 부안, 반핵민주투쟁, 전쟁기계 | 사랑과정의 | 2003.12.02 | 1917 |
169 | 일독을 권합니다... | 永樂 | 2003.11.29 | 1756 |
168 | 세 겹의 反휴머니즘 <최정호> | 永樂 | 2003.11.28 | 1879 |
167 | 신행정수도 논란... | 永樂 | 2003.11.27 | 1837 |
166 | 정보 안 주는 미국, 무조건 최대치 한국 | 永樂 | 2003.11.26 | 1881 |
165 | 이라크 베트남과 다르다(이라크, 국회 조사단 인터뷰) | 民主 | 2003.11.25 | 1720 |
164 | 동북아에 불고 있는 改憲 회오리 | 永樂 | 2003.11.25 | 1532 |
163 | [대담] 박세일 VS 장하준 ‘대안적 세계화 가능한가’ | 永樂 | 2003.11.25 | 1898 |
162 | 부안이 제2의 광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 사랑과정의 | 2003.11.22 | 1642 |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