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17일 KG 제2차 워크샵에서 다룰 [2004년 예측] 중
경제분야에 관한 최교수님 의견을 올립니다.
다른 회원님들도 아래와 같이 의견을 올려주시거나(혹은 보내주시거나)
경우에 따라 (공동체라든지) 결여된 분야가 있으면 첨가해 의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3) 경제체질의 약화와 신빈곤 시대의 도래
- 미국경기 회복과 중국 경제성장에 따른 수출시장의 호조로 최소한의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수출의 고용 및 투자 증대 효과의 약화로 인해 수출과 내수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질 것임. (그러나 조세 감면 조치에 따른 미국 경제회복의 지속여부가 불투명하고 중국 및 인도의 경제성장 그리고 신성장산업 육성의 한계 등으로 중장기적인 수출 전망 역시 낙관적이지 못함)
- 반면 투자시스템의 붕괴와 가계부채 및 정부부채 등에 따른 내수경기 진작의 수단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부동산투기 억제 조치에 따른 건설경기의 부진까지 더해 생활현장의 경기침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기존 투자시스템의 붕괴와 새로운 투자시스템의 구축이 지연된 상황에서 기업의 투자 회복이나 신성장산업의 육성은 낙관적이지 못함
- 청년실업, 조기퇴직, 비정규직의 증대 등 고용의 불안정과 고용의 질 약화는 경제활동 전반을 위축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인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저출산과 고령화는 (가계경제의 압박에 따른 부녀자의 경제활동 압력과 더불어) 재정위기, 경기위축, 노동력 공급의 악화, 가족문제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 (금융 그리고 부동산 및 토지 등) 자산소득의 심한 불평등은 고용불안정과 더불어 소득분배를 지속적으로 악화시키고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사회긴장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음
- 고용 불안정의 심화, 소득분배의 악화, 교육비 및 육아비용의 증가, 주거확보의 불안정, 사회구조의 변화와 정부 대응의 실패에 따른 비용 부담의 증가 등은 노사관계 불안정을 비롯한 사회통합의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경제분야에 관한 최교수님 의견을 올립니다.
다른 회원님들도 아래와 같이 의견을 올려주시거나(혹은 보내주시거나)
경우에 따라 (공동체라든지) 결여된 분야가 있으면 첨가해 의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3) 경제체질의 약화와 신빈곤 시대의 도래
- 미국경기 회복과 중국 경제성장에 따른 수출시장의 호조로 최소한의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수출의 고용 및 투자 증대 효과의 약화로 인해 수출과 내수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질 것임. (그러나 조세 감면 조치에 따른 미국 경제회복의 지속여부가 불투명하고 중국 및 인도의 경제성장 그리고 신성장산업 육성의 한계 등으로 중장기적인 수출 전망 역시 낙관적이지 못함)
- 반면 투자시스템의 붕괴와 가계부채 및 정부부채 등에 따른 내수경기 진작의 수단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부동산투기 억제 조치에 따른 건설경기의 부진까지 더해 생활현장의 경기침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기존 투자시스템의 붕괴와 새로운 투자시스템의 구축이 지연된 상황에서 기업의 투자 회복이나 신성장산업의 육성은 낙관적이지 못함
- 청년실업, 조기퇴직, 비정규직의 증대 등 고용의 불안정과 고용의 질 약화는 경제활동 전반을 위축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인 성장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저출산과 고령화는 (가계경제의 압박에 따른 부녀자의 경제활동 압력과 더불어) 재정위기, 경기위축, 노동력 공급의 악화, 가족문제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 (금융 그리고 부동산 및 토지 등) 자산소득의 심한 불평등은 고용불안정과 더불어 소득분배를 지속적으로 악화시키고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사회긴장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음
- 고용 불안정의 심화, 소득분배의 악화, 교육비 및 육아비용의 증가, 주거확보의 불안정, 사회구조의 변화와 정부 대응의 실패에 따른 비용 부담의 증가 등은 노사관계 불안정을 비롯한 사회통합의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