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이라는 망상에서 탈피하라"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민족이라는 기원의 망상에서 탈피해 동아시아관점에서 한국사 재구성이 필요하다"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움직임에 국사학계가 일제히 반격에 나선 것에 대해 한소장파 역사학자가 우려의 뜻을 표했다.
김기봉 경기대 교수는 최근 교수신문에 기고한 '시대착오적 역사해석에서 탈피하라'는 제목의 글에서 "'고구려 역사 찾기 운동'에 학계와 정치계가 가세해 범국민적 운동으로 발전하는 것이 과연 문제해결의 올바른 방향인가 회의한다"고 밝혔다.
김교수는 "민족이 형성되기 이전의 역사를 민족사의 관점에서 중국학계에 반격을 가하는 것은 결론 없는 소모전으로 끝날 가능성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사가 일본사.중국사와 충돌하는 것은 한국사를 한민족의 역사로 보는기존 한국사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했다"면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은 "역사를 '국사'로 보는 민족주의 역사학의 해체이지, 그것의 강화는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종래의 한국사는 근대 이전 한국사에서 중국이란 무엇이며 근대 이후 일본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면서 "민족을 코드로 해서 과거의 기억과 망각을 결정하는 역사서술이 고구려사를 고구려사 자체로 인식하는 것 대신에 역사주권 싸움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현사태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서양의 고대와 중세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가 아닌 로마제국과 프랑크왕국이 있었던 것처럼 고구려의 역사무대는 오늘날의 용어로 동아시아"라고 지적하며 논리적으로 후대에 형성된 민족 개념으로 고구려사를 재단하는 것은 이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김교수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글은 "중국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습이 너무나 민족주의 역사관에 치우친 것에 대한 문제제기"라면서 이러한 흐름은 "긴 안목으로 봤을 때 오히려 중국을 자극하고 파워 게임으로 흐를 여지가 커서, 누구에게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