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가까운 사람들과 돌려 보기 위해
일주일 전 쯤 작성한 것입니다.
마침 이라크에서 막 생겨나고 있는 NGO들을
만날 기회가 있어서 여러가지를 물어보고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하십시오.
*이라크 NGO들이 보는 이라크 파병 문제
► 이라크 NGO들은 반미 감정이 있음에도 후세인 제거를 위한 미국의 이라크 공격을 긍정적으로 인식
► 시아파, 쿠르드족 다수는 주로 외국 군대에 친근감을, 수니파의 다수는 반감을 가지고 있는 듯함
► 미국의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미군의 이라크 주둔은 지속될 것임
1. 이라크 시민 운동과 미국에 대한 인식
u 미국의 이라크 해방과 후세인 체포 이후 이라크 시민 운동 탄생하고 있음
- 현재 이라크에서는 다양한 NGO들이 국제 사회의 후원 속에 성장하고 있음
- 시민권, 여성 문제, 인권, 여론 조사 기관, 권력 감시 등 다양한 NGO 들이 생겨나고 있음
- 향후 이라크 시민의 여론 형성에 있어서 NGO들의 역할이 커질 전망
u 외국군의 이라크 주둔에 대한 인식은 의견이 갈림
-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주로 외국군대에 대해 큰 반감을 가지고 있지 않음
- 대신 수니 계열은 외국군대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는 듯함, 이는 외국군에 대한 테러가 주로 수니 삼각 지대에 집중되고 있는 데에서도 반영됨
- 한국 군대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서도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이나 수니파는 반대하는 입장
- 이라크 인들의 다수 여론을 정확히 알기는 한계가 있음, 이는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을 경우 상대편의 보복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임
u 미군의 이라크 공격에 대해 시민운동가들은 전적으로 지지하는 입장
- 이라크 남부 바빌론 변호사 출신의 시민운동가(현재 이라크 바트당 청산 특별위원회 검사)는 이라크 개전 직전 미국 대통령 부시가 “사담 후세인은 48시간 이내에 이라크를 떠나라”는 라디오 방송을 듣고 기뻐 환호했다고 함
- 한 수니 계열의 시민 운동가는 반미 의식이 강함여 당장 미군이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이라크 공격은 이라크 사람들이 미국의 힘을 이용하여 사담 후세인을 제거하려 한 미국과 이라크인들의 일시적 동맹”이라며 미국의 전쟁을 두둔
2. 향후 전망과 시사점
u 미국의 대선이 미국의 대이라크 정책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임
- 현재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WMD)가 발견되지 않아 부시가 곤경에 처하고 있음
- 비록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존 케리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미군은 이라크에서 철수하지 않을 것임, 오히려 존 케리는 조지 부시가 자신의 정치적 인기를 위해 이라크에서 조기 철수하려 한다고 비판하고 있음
u 한국도 이라크 파병을 서두를 필요가 있음
- 현재 수니 계열 일부, 바트당 잔당, 극단적 이스람주의자들을 제외하고는 이라크 사람 대다수가 외군군대의 주둔을 필요하다고 보고 있음
- 외국 군대가 철수할 경우 이라크는 내전에 빠질수도 있다고 우려하는 분위기임
-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이라크 파병에 우유부단한 모습을 계속 보일 경우 미국 과의 관계뿐 아니라 이라크 국민들에게도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도 있음
- 이라크와의 관계 개선은 장기적으로 한국의 국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적극적으로 파병하여 이라크 내에 친한 세력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일주일 전 쯤 작성한 것입니다.
마침 이라크에서 막 생겨나고 있는 NGO들을
만날 기회가 있어서 여러가지를 물어보고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하십시오.
*이라크 NGO들이 보는 이라크 파병 문제
► 이라크 NGO들은 반미 감정이 있음에도 후세인 제거를 위한 미국의 이라크 공격을 긍정적으로 인식
► 시아파, 쿠르드족 다수는 주로 외국 군대에 친근감을, 수니파의 다수는 반감을 가지고 있는 듯함
► 미국의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미군의 이라크 주둔은 지속될 것임
1. 이라크 시민 운동과 미국에 대한 인식
u 미국의 이라크 해방과 후세인 체포 이후 이라크 시민 운동 탄생하고 있음
- 현재 이라크에서는 다양한 NGO들이 국제 사회의 후원 속에 성장하고 있음
- 시민권, 여성 문제, 인권, 여론 조사 기관, 권력 감시 등 다양한 NGO 들이 생겨나고 있음
- 향후 이라크 시민의 여론 형성에 있어서 NGO들의 역할이 커질 전망
u 외국군의 이라크 주둔에 대한 인식은 의견이 갈림
-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주로 외국군대에 대해 큰 반감을 가지고 있지 않음
- 대신 수니 계열은 외국군대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는 듯함, 이는 외국군에 대한 테러가 주로 수니 삼각 지대에 집중되고 있는 데에서도 반영됨
- 한국 군대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서도 시아파와 쿠르드족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이나 수니파는 반대하는 입장
- 이라크 인들의 다수 여론을 정확히 알기는 한계가 있음, 이는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을 경우 상대편의 보복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임
u 미군의 이라크 공격에 대해 시민운동가들은 전적으로 지지하는 입장
- 이라크 남부 바빌론 변호사 출신의 시민운동가(현재 이라크 바트당 청산 특별위원회 검사)는 이라크 개전 직전 미국 대통령 부시가 “사담 후세인은 48시간 이내에 이라크를 떠나라”는 라디오 방송을 듣고 기뻐 환호했다고 함
- 한 수니 계열의 시민 운동가는 반미 의식이 강함여 당장 미군이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이라크 공격은 이라크 사람들이 미국의 힘을 이용하여 사담 후세인을 제거하려 한 미국과 이라크인들의 일시적 동맹”이라며 미국의 전쟁을 두둔
2. 향후 전망과 시사점
u 미국의 대선이 미국의 대이라크 정책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임
- 현재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WMD)가 발견되지 않아 부시가 곤경에 처하고 있음
- 비록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존 케리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미군은 이라크에서 철수하지 않을 것임, 오히려 존 케리는 조지 부시가 자신의 정치적 인기를 위해 이라크에서 조기 철수하려 한다고 비판하고 있음
u 한국도 이라크 파병을 서두를 필요가 있음
- 현재 수니 계열 일부, 바트당 잔당, 극단적 이스람주의자들을 제외하고는 이라크 사람 대다수가 외군군대의 주둔을 필요하다고 보고 있음
- 외국 군대가 철수할 경우 이라크는 내전에 빠질수도 있다고 우려하는 분위기임
-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이라크 파병에 우유부단한 모습을 계속 보일 경우 미국 과의 관계뿐 아니라 이라크 국민들에게도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도 있음
- 이라크와의 관계 개선은 장기적으로 한국의 국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적극적으로 파병하여 이라크 내에 친한 세력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